관리 메뉴

공감과 파장

유시민이 언급한 도척의 도둑의 '다섯가지 도(오도)' 본문

재밌는뉴스

유시민이 언급한 도척의 도둑의 '다섯가지 도(오도)'

레몬박기자 2025. 2. 24. 15:43

반응형

도척(盜跖)은 중국 고대 설화에서 등장하는 전설적인 대도(大盜)로, 

"도둑의 다섯 가지 도(道)"를 가르친 인물로 회자되고 있습니다.

그는 춘추전국시대에 활동했다고 전해지지만,

역사적 기록보다는 주로 철학적, 윤리적 논쟁에서 인용되는 인물입니다.

 


도척과 도둑의 다섯 가지 도(오덕 )

 

도척은 단순한 도둑이 아니라, 자신만의 도(道)를 가지고 도둑질을 체계적으로 실행했던 인물로 묘사됩니다.

 『장자(莊子)』 「도척편(盜跖篇)」 등에 따르면, 그가 도둑들에게 가르친 다섯 가지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성(聖) – 훔칠 재물이 어디 있는지를 아는 것
    → 도둑질을 하기 전에 먼저 목표를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예시: "저 부잣집에 귀한 보물이 있다"는 정보를 사전에 알아야 한다.
  • 용(勇) – 훔치러 들어갈 때 앞장서는 것
    → 실제 행동에 나설 때, 두려움 없이 가장 먼저 나서는 용기가 필요하다.
    예시: 한밤중에 주인이 깨어 있을지도 모르지만, 도둑은 앞장서서 문을 연다.
  • 지(智) – 손을 댈 것인지 말 것인지 판단하는 것
    → 상황을 보고 신중하게 행동할 줄 알아야 한다.
    예시: 집 안에 뜻밖의 경비견이 있다면? "지금 훔치는 것이 맞는가?"를 즉각적으로 판단해야 한다.
  • 의(義) – 훔친 후 가장 나중에 나오는 것
    → 동료가 모두 빠져나갈 때까지 마지막까지 남아서 지켜주는 것이 의리다.
    예시: 동료가 뒤처지면, 먼저 도망가지 않고 끝까지 함께 한다.
  • 인(仁) – 훔친 물건을 공평하게 나누는 것
    → 혼자 독식하지 않고, 모두가 공평하게 나누는 것이 조직을 유지하는 핵심이다.
    예시: "이건 네가 가져, 저건 내가 가질게" 하면서 공평하게 분배한다.


유시민이 윤석열의 반란이 실패한 이유를 도척의 다섯가지 도에 빗대어 설명합니다. 

도둑질을 할 때도 이런 도가 있는데, 대통령이라는 작자가 문제가 생기니 자기만 살자고 하는 상황이니 

친위쿠데타가 실패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죠.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