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공감과 파장

삼일운동과 삼일절에 대해 우리가 알아야 하는 것 본문

오늘의 이슈

삼일운동과 삼일절에 대해 우리가 알아야 하는 것

레몬박기자 2024. 3. 1. 09:49

오늘은 삼일절 105주년 기념일입니다. 

1919년 3월 1일 일제의 식민지에서 우리 선조들이 이 나라의 독립을 부르짖었고 

이로 대한민국이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삼일절 기념일에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삼일절에 관한 내용을 정리해봤습니다. 

 

 

1. 삼일절은 무엇인가?  

 

삼일절은 한국의 광복운동 중 하나로서, 대한민국의 독립을 위해 전 국민이 궐기한 행사입니다.

종교인들이 중심이 된 민족대표 33인이 독립선언문을 작성하고 한국의 독립운동가들이 독립선언을 낭독하고,

이어 "대한독립 만세"를 외치며, 전국적으로 항일운동이 일어났습니다.

이는 한국인들의 자주독립의 의지를 표현하기 위한 대규모 시민 운동이었으며,

이로 자주독립에 대한 열망을 확고히 하였습니다.

 

2. 삼일절이 국경일이 되기까지 

 

삼일절은

  • 1949년 6월 4일 대통령령 제124호로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을 제정·공포하여 이 날을 국경일로 정하고 공휴일로 정하였습니다. 이후 1949년 10월 1일, '국경일에 관한 법률'이 제정 및 공포되면서 3월 1일은 '삼일절'이라는 명칭으로 대한민국의 국경일이 되었습니다.
  • 1919년 3월 1일, 일제의 식민지 지배에 항거하고 독립선언서를 발표하여 한국의 독립 의사를 세계 만방에 알린 것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 대한민국임시정부 시절부터 국경일로 지정하여 기념하였던 날로, 한국의 5대 국경일 중 하나입니다.

 

 

3. 독립선언서를 작성하고 서명한 민족대표 33명 

 

민족대표 33인은 1919년 3·1 운동 때 발표된 기미독립선언서에 서명한 33명을 가리키며 종교별로 나누어 대표를 선정하여 개신교 인사 16명, 천도교 인사 15명, 불교 인사 2명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이들은 1919년 3월 1일 오후 2시에 모이기로 했던 조선의 민족대표 33인은 오후 3시가 되어서야 기독교계 길선주, 유여대, 김병조, 정춘수를 제외한 29인이 태화관(서울시 종로구 인사동 소재)에 모여 조선이 독립국임을 선언하였습니다.

 

민족대표 33인은 종교별로 정리해보면 

  • 천도교 : 손병희, 권동진, 오세창, 임예환, 나인협, 홍기조, 박준승, 양한묵, 권병덕, 김완규, 나용환, 이종훈, 홍병기, 이종일, 최린
  • 개신교 : 이승훈, 박희도, 이갑성, 오화영, 최성모, 이필주, 김창준, 신석구, 박동완, 신홍식, 양전백, 이명룡, 길선주, 유여대, 김병조
  • 불교 : 한용운, 백용성

 

 

4. 삼일운동의 작은 통계 

  • 참가인원 : 최소 50만명에서 최대 200만명으로 추산 됩니다.
  • 사망자 : 7,500여명, 부상자 : 15,000여명, 수감된 사람 : 46,948명
  • 3월 1일 시작되어, 5월 말까지 지속되었습니다.
  • 이 운동은 대한민국 독립 운동사에서 중요한 사건 중 하나로 평가 받고 있습니다.

5. 삼일운동으로 인한 기독교 교회의 피해

 

삼일운동으로 인해 파괴된 교회의 정확한 수는 파악하기 어렵지만, 1919년 5월 총독부의 발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피해를 입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전부 파괴된 예배당: 17동
  • 일부 파괴: 24동
  • 그 외의 예배당 손해: 41동

교회 재산의 손해액은 달러로 환산 했을 때 3만 달러로 알려져 있습니다. 당시 민족대표 33인 중 16명이 개신교 신자일 정도로 교회는 삼일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습니다. 이로 인해 일본은 교회를 독립운동의 거점으로 인식하고 탄압하였습니다.

 

 

 

 

5. 삼일운동의 역사적 가치 

 

삼일운동은

  • 대한민국 독립의 기초를 마련하였습니다.
  •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의 계기가 되었습니다.
  • 아시아 지역의 독립운동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 민주주의와 인권의 가치를 강조하였습니다.

대한민국의 독립과 민주주의의 가치를 강조하며, 전 세계에 한국의 독립 의지를 알리는 계기가 되었으며, 제헌 헌법의 전문에서도 ‘대한민국은 기미삼일운동으로 건립’되었음을 ‘선언’했으며, 이 ‘선언’의 정신은 현행 헌법에도 승계되고 있습니다.

 

6. 삼일운동의 세계사적 의의 

 

삼일운동은 한국의 독립 의지를 세계에 알리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는 중국의 5·4운동, 인도의 비폭력·불복종 운동 등 아시아 지역의 독립운동에 영향을 미쳤으며, 민족자결주의가 확산되는 데 기여하였습니다.

 

 

 

7. 삼일운동의 의의 

 

삼일운동은 

  • 3·1운동은 1919년 3월 1일을 기해 일어난 거족적인 독립만세운동으로 전국적인 범위에서 각계각층을 망라하여 전개되었습니다.
  • 세계의 이목을 집중 시켜 한국민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였고, 중국 상하이에서의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으로 이어졌습니다.
  • 이민족에 대한 끈질기고 강렬한 독립투쟁 정신을 고취하였을 뿐 아니라, 일제의 무단 통치방법을 이른바 문화 통치로 바꾸게 하였습니다.
  • 민족의식과 민주주의 사상의 발전에도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
  • 삼일운동은 대한민국의 독립을 선언하고 일본의 식민지 지배에 항거하는 시위를 벌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국민들은 자유와 평등, 인권 등 민주주의의 가치를 강조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삼일운동의 정신을 이어받아 민주주의 원칙에 따라 수립되었습니다. 임시정부는 국민의 자유와 평등을 보장하고, 국민의 참여를 통해 정부를 운영하는 민주주의를 실천하였습니다.삼일운동 이후 국내에서는 민주주의를 지향하는 다양한 단체들이 생겨났습니다. 이들은 민주주의를 학습하고 실천하며, 민주주의 사상의 발전에 기여하였습니다. 삼일운동은 세계적으로 민족자결주의가 확산되는 데에도 기여하였습니다. 민족자결주의는 각 민족이 스스로의 운명을 결정할 권리를 가지고 있다는 사상으로, 민주주의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이렇듯 삼일운동은 대한민국의 독립에 큰 기여를 하였으며, 그 역사적 가치는 매우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상 삼일절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위 내용은 네이버 AI인 CLOVA X의 도움을 받아 작성하였습니다. 

 

by 레몬박기자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