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이네로 말하라
- 행복한 맘스
- 뭘더의 로이터 닷컴
- 혜천의 바람흔적
- 피오나의 아름다운 이야기 모음.
- 세미예의 지키자 환경
- 소곤소곤비밀노트
- 탐진강의 함께 사는 세상 이야기
- 빨간來福의 통기타 바이러스
- 구름지기의 사진블로그
- 귀여운걸의 리뷰스토리
- 두자매 이야기
- 리우군의 today
- 김용택의 참교육이야기
- 애버그린 스토리
- 루비의 정원
- 찰칵찰칵 사각사각... 커피 향
- 용포토스닷컴 : YongPhotoS.com
- 류희의 샌드아트
- yitzhak의 블로그
- ITstory
- 꼬마악당의 사진 속으로
- 내카메라로 닷컴
- 사진하나 추억둘
- 꿈꾸는 여행자
- 비츠로의 사진미학
- 골목 안 작은사진관
- 솜다리's gallery
- 마루토스/선배집
- 새로운 시작
- 생.활.사.진.가
- 내 앵글속에 그린 그림
- 골목 안 작은사진관
목록연경당 (7)
공감과 파장
창덕궁 후원에 일반 사대부 살림집을 그대로 옮겨놓은 건물이 있다. 바로 연경당이다. 연경당은 효명세자가 아버지 순조에게 존호를 올리는 의례를 행하기 위해 순조28년 1828년 경에 창건했다. 연경당은 사대부 살림집을 본 떠 왕의 사랑채와 왕비의 안채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고 궁궐의 여느 건물들과는 달리 단청을 하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건물 이름인 '연경(演慶)'은 '경사스러운(慶) 행사를 연행(演行)한다'는 뜻이다. 이로 보아 연경당은 효명세자가 연회를 베푸는 장소로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연경당을 처음 지을 즈음인 효명세자 대리청정기에 그린 《동궐도》를 보면, 지금과는 구조가 많이 다르다. 애초에 연회나 공연 같은 행사를 하기 위한 구조였는데, 이것이 고종 때 증축, 신축하면서 현재의 모습으로 바뀌..
창덕궁 연경당에 앞에 영문으로 씌어 있는 안내문에는 연경당을 이렇게 해석하고 있다. "연경당은 학문과 지위에 기반을 둔 세습적인 귀족인 양반의 집으로서는 최대 허용 규모인 99간을 갖고 있다. 건축양식과 배치, 그리고 연못, 개천, 꽃밭들을 포함한 주변이 모두 당대의 양반 주택을 잘 대표하고 있다. 선조왕은 양반의 생활을 체험하기 위해 이 집을 1828년에 짓게 했다.선조는 이 집에 있을 때면 양반과 같이 옷을 입고 양반이 먹는 음식을 먹었다. 돌다리를 건너면 남자들의 숙소(사랑채?)인 장양문이 나오며 그 우편에는 여자들의 숙소 (안채?)인 수인문이 나온다. 두 채가 낮은 벽으로 분리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나 실제로 연결되어 있다. 안채 뒤에는 별개의 채가 있다. 건물 서쪽에 차양이 있는 선향재는 사랑채의..
김호성의 시조창, 연경당에서 직접 듣는 시조창 창덕궁 연경당에서는 매주 목요일 아주 특별한 공연이 펼쳐진다. 당시 황족들을 모아놓고 황실공연을 펼친 곳이기에 이곳에서 벌이는 공연은 가히 우리나라 최고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곳에서 대학을 졸업한 후 처음으로 시조창을 들었다. 그것도 우리나라 최고의 소리꾼이라 할 수 있는 김호성님의 "태산이..."를 감상하였다. 1987년 무형문화재 제41호 가사 준보유자로 지정받아 활동하고 있는 김호성님은 원래 전공이 대금이었으나 성악에도 큰 관심을 보여 일찍이 이주환 선생에게 가곡,가사,시조를 배워, 선생의 뒤를 잇는 첫제자가 되었고, 왕성한 활동을 펼쳤다. 특히 시조창 13가지를 모두 무대에 올리는 등의 활동으로 두각을 보이면서 가곡과 가사의 보급을 위해 대학에서..
계속 이어지는 연경당 궁궐무대의 공연장면입니다. 이번 공연은 성금연류 가야금 산조입니다. 산조란 느린 속도의 진양조로 시작, 차츰 급하게 중모리· 자진모리·휘모리로 끝나는 가야금의 연주방식을 말합니다. 성금연류 가야금 산조는 성금연 선생님이 안기옥과 박상근 선생님으로부터 사사받은 뒤 자신의 가락으로 만든 독창적인 것입니다. 현재 연주되는 가야금 산조 중 가장 긴 산조이며, 다른 산조들에 비해 굿거리의 장단이 삽입된 점, 마지막을 4장단의 엇모리로 마루리 짓는 점이 특이하다고 합니다.( 그렇게 설명하시니 그런 줄 알아듣고 들었습니다.) 이 산조는 변화가 다채롭고, 계면조 또는 경드름에서도 청을 바꾸어 새로운 맛을 내는 선율이 많으며, 농현과 장식음이 많아 기교가 특별히 요구되는 산조입니다.( 분명 한글인데..
계속 이어지는 연경당 궁궐무대의 공연장면입니다. 이번 공연은 성금연류 가야금 산조입니다. 산조란 느린 속도의 진양조로 시작, 차츰 급하게 중모리· 자진모리·휘모리로 끝나는 가야금의 연주방식을 말합니다. 성금연류 가야금 산조는 성금연 선생님이 안기옥과 박상근 선생님으로부터 사사받은 뒤 자신의 가락으로 만든 독창적인 것입니다. 현재 연주되는 가야금 산조 중 가장 긴 산조이며, 다른 산조들에 비해 굿거리의 장단이 삽입된 점, 마지막을 4장단의 엇모리로 마루리 짓는 점이 특이하다고 합니다.( 그렇게 설명하시니 그런 줄 알아듣고 들었습니다.) 이 산조는 변화가 다채롭고, 계면조 또는 경드름에서도 청을 바꾸어 새로운 맛을 내는 선율이 많으며, 농현과 장식음이 많아 기교가 특별히 요구되는 산조입니다.( 분명 한글인데..
이 춤은 조선 순조 때 효명세자가 순종 숙황후의 보령 40세를 경축하기 위해 창제한 정재((呈才) 대궐 안 잔치에 벌이던 춤과 노래.)입니다. 꾀꼬리를 상징하는 노란색의 의상을 입고 화관을 쓰고 오색 한삼을 양손에 끼고 육자길이의 화문석 위에서 추는 독무이며, 궁중무용의 으뜸가는 춤이라 할 수 있습니다. 왕실 공연이라 현란하지않고 기품을 중시하며 아주 절제된 행동으로 춤사위를 펼치는 것이 상당히 인상적이었습니다. 특히 발걸음을 움직이는 동작 하나하나에 기품이 배여있으며, 오색한삼을 휘두르는 손 동작 하나에도 감히 쉽게 법접하기 어려운 기가 서려있습니다. 결코 난하지 않으면서도 뭇남성의 마음을 사로잡는 여인의 아름다움이 마음을 휘어잡는 것을 느낍니다. 이번 공연에서는 한쌍의 꾀꼬리를 상징하듯 남여 2인이 ..
계속해서 연경당 특별무대에서 펼쳐진 공연, 영산회상을 보여드리겠습니다. 영산회상은 정악 중에서도 관현악이 잘 어울리는 실내악입니다. 느리고 한가로운 상령산에서 부터 시작하여 점점 그 리듬이 빨라지기 시작합니다. 염불도드리, 타령에 이르면 음악이 고조되어 흥겨운 춤곡으로 이어지고, 군악에서 권마성에 이르면 음악의 절정에 도달합니다. 옛 선비들은 풍류를 좋아하였는데, 이 영산회상이야 말로 진정한 풍류음악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날은 영산회상 중 가장 느린 음악인 "상령산"을 연주하였습니다. 고궁에서 흘러나오는 잔잔하면서도 절도가 넘치는 음률, 그곳에 온 이들의 마음을 마치 구름에 달가듯 풍류객의 자유로움에 취하게 만들었습니다. 연주는 풍류집단 "률"이 하였습니다. 거문고에 박영승, 가야금에 이지혜, 대금..